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js fetch
- 코프링
- ja async
- springboot 모듈
- spring 모듈 프로젝트
- jpa준영속
- jpa 영속성
- jpa 플러쉬
- js await
- 코틀린
- javascript fetch
- springboot gradle 모듈 프로젝트
- javascript api 호출
- JS
- jpa 플러시
- 스프링부트
- js api 호출
- Flutter
- JavaScript
- JPA
- 준영속상태
- js async await
- JPA플러시
- 코틀린 클래스
- JPA플러쉬
- javascript async await
- javascript async
- JPA준영속 상태
- spring gradle 모듈
- gradle 모듈 프로젝트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4)
매일 한줄 코딩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ZT1b/btqJ8eORRO5/PavTirThgvwbbFFOnTRzUK/img.png)
안녕하세요. 스프링부트를 이용한 프로젝트 생성부터 시작하여, 많이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나 기술들 혹은 팁을 작성해두려고 합니다. 최종적으로는 하나의 프로젝트를 만들고자 합니다. 시작하기 전, 기본 설치사항입니다. - java jdk 8이상, - DBMS ( oracle, mysql, mariadb, mssql-server, postgre... 등등 ) 처음엔 mybatis 구성인 관계형디비로 시작하여 최종적으론 ORM으로 변경할 예정이라 DBMS의 종류는 크게 상관없이 편한것 선택. - 툴 ( 이클립스, 인텔리제이, vscode 등 .. ) - 서버구성 (아파치-톰캣) 으로 할 예정입니다. - 빌드툴 (그래들 or 메이븐) -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구성 - html위 템플릿엔진 ( 타임리프 ) 올릴 예정.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gDqCF/btqHvKg3jDB/BwML7vQYmMPDGGLjw4GewK/img.jpg)
최근에 파인드라이브ai2 라는 제품을 알게되었습니다. 이제품은 아틀란네비와 그 외에 많은어플(넷플릭스 유튜브 멜론 등등의 여러 앱)등을 차량에 usb단자에 연결하여 바로 연결 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순정네비화면에 위에 앱들과 아틀란네비를 사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순정네비는 솔직히 많이들 사용하지 않죠.. 아틀란을 사용해보자 해서 사용해보았구요.. 티맵도 되니 티맵유저들은 보다 큰 티맵으로 네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단 기존에는 송풍구쪽에 거치대를 사용하였고 그에따른 줄들이 많이 주렁주렁 달아놨었는데... 다 없애고 저 ai 2스틱 하나만 꼽아주면 정말 센터페시아 전면부 모두 깔끔해집니다. 은은하게 나오는 불빛도 이쁘구요. 더 자세한 내용은 하단 아래의 링크를 타고 들어가보시면 ! 정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6ZumI/btqApIk0bw6/DPqtTJr6xBuMemTP6NaOIk/img.png)
https://dartpad.dartlang.org/dart => 다트를 온라인에서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는 url. ---설명부분--- ---설명부분 END --- ---설명부분--- ---설명부분 END --- ---설명부분--- ---설명부분 END --- ---설명부분--- ---설명부분 END --- -------------- 비동기 ----------- ---설명부분--- ---설명부분 END --- ---설명부분--- ---설명부분 END --- ---설명부분--- ---설명부분 END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U97t/btqAi9pt5Cn/C0NPuqEKFOQtpBkm7APiw1/img.png)
플러터는 위젯으로 구성되어있다. 소스를 보면, StatelessWidget을 상속받았고, Widget build를 오버라이드하여 구현부를 원하는 입맛에 맞게 구현한다. Scaffold의 여러 속성 중 appBar는 앱의 상단을 의미한다. body는 컨텐츠부를 의미한다. StatelessWidget 은 상태가 없는 위젯을 의미한다. ( 변경이 될 수 없는 화면을 의미 ) 만약, 어떠한 버튼이나 다른 이벤트로인하여 화면의 내용이 바뀌어야 한다면, StatelessWidget을 StatefulWidget 으로 바꿔줘야한다. 아래에 stf 를 치고 엔터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StatefulWidget 의 구성이 나온다. 이때 extends 앞에 클래스명을 붙여주면 아래와같이(빨간밑줄) 친부분이 동일하게 기입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6506Y/btqAjW2VkVd/U0oLqHbFMfKeCkhHIiA1r1/img.png)
앞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 https://ship-jh.tistory.com/7?category=878553 참고 ) AVD Manager 클릭. 에뮬레이터의 화면이 될 디바이스를 선택해줍니다. 그다음 Next Release Name을 보고 개발할 버전을 선택하여 다운로드. 다운로드가 되었으면 해당 Realease를 선택하고 AVD 이름을 짓고 Finish 그럼 에뮬레이터 목록에 방금 만든 에뮬레이터가 추가됩니다. 실행버튼을 눌러 실행되는지 확인합니다. 혹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난다면? Intel HAXM is required to run this AVD. VT-x is disabled in BIOS. Enable VT-x in your BIOS security s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