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JavaScript
- 스프링부트
- js async await
- js fetch
- jpa준영속
- javascript async
- jpa 플러쉬
- js api 호출
- spring gradle 모듈
- 코틀린 클래스
- springboot gradle 모듈 프로젝트
- ja async
- JPA
- javascript api 호출
- js await
- springboot 모듈
- jpa 플러시
- Flutter
- javascript async await
- JPA플러시
- gradle 모듈 프로젝트
- JPA플러쉬
- 준영속상태
- 코틀린
- spring 모듈 프로젝트
- JPA준영속 상태
- JS
- jpa 영속성
- javascript fetch
- 코프링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flutter StatefulWidget (1)
매일 한줄 코딩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U97t/btqAi9pt5Cn/C0NPuqEKFOQtpBkm7APiw1/img.png)
플러터는 위젯으로 구성되어있다. 소스를 보면, StatelessWidget을 상속받았고, Widget build를 오버라이드하여 구현부를 원하는 입맛에 맞게 구현한다. Scaffold의 여러 속성 중 appBar는 앱의 상단을 의미한다. body는 컨텐츠부를 의미한다. StatelessWidget 은 상태가 없는 위젯을 의미한다. ( 변경이 될 수 없는 화면을 의미 ) 만약, 어떠한 버튼이나 다른 이벤트로인하여 화면의 내용이 바뀌어야 한다면, StatelessWidget을 StatefulWidget 으로 바꿔줘야한다. 아래에 stf 를 치고 엔터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StatefulWidget 의 구성이 나온다. 이때 extends 앞에 클래스명을 붙여주면 아래와같이(빨간밑줄) 친부분이 동일하게 기입된다..
develop/flutter
2019. 12. 10. 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