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jpa준영속
- JPA플러쉬
- 스프링부트
- springboot gradle 모듈 프로젝트
- js async await
- 코프링
- 코틀린
- spring 모듈 프로젝트
- gradle 모듈 프로젝트
- 코틀린 클래스
- jpa 영속성
- jpa 플러시
- JavaScript
- javascript fetch
- JPA
- JPA플러시
- spring gradle 모듈
- 준영속상태
- js await
- springboot 모듈
- ja async
- jpa 플러쉬
- javascript async await
- javascript async
- javascript api 호출
- js fetch
- JPA준영속 상태
- js api 호출
- JS
- Flutter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JPA플러쉬 (1)
매일 한줄 코딩
[JPA] 플러시
3. 플러시 플러시란 ? 영속성 컨텍스트의 변경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것 플러시 발생하면? 변경 감지 수정된 엔티티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등록 쓰기 지연 SQL 저장소의 쿼리를 데이터베이스에 전송 (등록, 수정, 삭제 쿼리) 영속성 컨텍스트를 플러시하는 방법 em.flush() 플러쉬를 하더라도, 1차캐시는 없어지지 않음, 쓰기지연 SQL 저장소에 등록된 쿼리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과정일 뿐. 트랜젝션 커밋 ( 플러시 자동 호출) JPQL 쿼리 실행 ( 플러시 자동 호출 ) em.persist(memberA); em.persist(memberB); em.persist(memberC); query = em.createQuery("select m from Member m", Member.cl..
develop/JPA(ORM)
2022. 12. 22. 1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