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jpa준영속
- JPA
- jpa 플러쉬
- JPA플러시
- javascript fetch
- js fetch
- gradle 모듈 프로젝트
- JS
- 코프링
- javascript async
- jpa 영속성
- JPA플러쉬
- JPA준영속 상태
- js async await
- ja async
- spring gradle 모듈
- javascript async await
- spring 모듈 프로젝트
- 스프링부트
- javascript api 호출
- springboot gradle 모듈 프로젝트
- springboot 모듈
- js await
- JavaScript
- 코틀린 클래스
- 코틀린
- jpa 플러시
- 준영속상태
- Flutter
- js api 호출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스프링properties (1)
매일 한줄 코딩
#2] 스프링부트 properties 설정
스프링부트에서 properties 란 각 설정에 필요한 값들을 설정하여, 읽어들일 수 있다. 예를들어, DB연결 과 같은 설정 및 포트설정을 하면 자동으로 적용이된다. 기존에는 database source나 connection 정보들을 별도의 xml 혹은 javaconfig를 통하여 설정하였지만, 스프링부트에서는 간단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물론, 따로 설정하여도 무관하다. 다만 스프링부트에서는 개발자가 최대한 개발에만 몰두 할 수 있도록 설정을 간략하게끔 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준다. 예를들어 개발환경이 로컬, 개발서버, 운영서버가 나뉘어져 있다고 생각하여보자. 각각 서버마다 DB가 붙어야 할 곳이 각각 있다고 한다면 매번 properties나, 별도의 설정을 하였다면 그 설정에서 값을 바꿔줘야 한다. 하..
develop/spring
2021. 9. 18. 02:21